항생제(Antibiotics)는 어떤 감염에 적절한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세균의 성장을 억제하거나 세균을 죽이는 약물입니다. 세균 감염으로 인한 질병을 치료하는 데 사용되며, 다음과 그림과 같이 바이러스나 곰팡이 감염에는 효과가 없습니다.
작용하는 방식이 따라 세균을 죽이는 주요 기전 5가지
항생제는 세균 감염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하는 약물이지만, 그 작용 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합니다. 각각의 항생제는 세균의 중요한 생명 활동을 방해하거나 파괴함으로써 효과를 발휘합니다. 주요한 항생제 작용 방식은 다음과 같이 5가지 작용 기전이 있습니다.
작용 기전 | 대표적 항생제 성분명 | |
1 | 세포벽 합성 억제: 세균의 세포벽 합성을 방해하여 세균을 죽임 | 페니실린, 세팔로스포린 |
2 | 단백질 합성 억제: 세균의 단백질 합성을 방해하여 성장을 억제함 | 트라사이클린, 마크로라이드 |
3 | 핵산 합성 억제: 세균의 DNA 또는 RNA 합성을 방해하여 성장을 억제함 | 퀴놀론 |
4 | 세포막 기능 억제: 세균의 세포막 기능을 방해하여 세균을 죽임 | 폴리릭신 |
5 | 대사 경로 억제: 세균의 특정 대사 경로를 억제하여 성장을 억제함 | 설폰아미드 |
항생제는 어떤 종류가 있나요?
항생제는 작용 기전과 화학 구조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분류됩니다. 주요 항생제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항생제 분류 | 항생제 성분명 |
베타락탐계(β-lactam antibacterials) | 페니실린계 (Penicillins) 세팔로스포린계 (Cephalosporins) 모노박탐계(Monobactams) 카바페넴계(Carbapenems) |
아미노글리코시드계(Aminoglycosides) | 아미카신 겐타마이신 카나마이신 리보스타마이신 스트렙토마이신 토브라마이신 |
마크로라이드계(Macrolides) | 아지트로마이신 클래리트로마이신 디리트로마이신 에리트로마이신 미데카마이신 |
퀴놀론계(Quinolones) | 시프로플록사신 오플록사신 레보플록사신 |
테트라사이클린계(Tetracyclines) | 독시사이클린 메타사이클린 미노사이클린 옥시테트라사이클린 테트라사이클린 타이제사이클린 |
암페니콜계(Amphenicols) | 티암페니콜 클로람페니콜 |
글리코펩티드계(Glycopeptides) | 반코마이신 테이코플라닌 |
린코사미드계(Lincosamides) | 클린다마이신 린코마이신 |
니트로이미다졸계(Nitroimidazoles) | 메트로니다졸 오르니다졸 티니다졸 스피라마이신/메트로니다졸 |
옥사졸리디논계(Oxazolidinones) | 리네졸리드 테디졸리드 |
설폰아미드계(Sulfonamides) | 설파디아진/트리메토프림 설파메톡사졸/트리메토프림 에리트로마이신/아세틸설피속사졸 |
폴리믹신계(Polymyxins) | 콜리스틴 |
항생제 내성 문제
항생제 내성은 세균이 항생제에 대한 저항력을 갖게 되는 현상입니다. 항생제는 세균 감염 치료에 필수적인 약물이지만, 항생제 오남용은 내성균 출현을 가속화시키며, 이는 치료를 어렵게 만들고 의료 비용을 증가시키는 심각한 문제입니다.
항생제 내성 발생 원인은 불필요한 항생제를 사용하거나 부적절한 용량을 장기간 사용할 경우 발생합니다. 최근 가축 사육 시 항생제 사용으로 인한 내성균 발생도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특히 병원 내 환경은 내성균이 확산되기 쉬운 환경이기에 손 씻기 등 개인위생 관리가 소홀하면 내성균 발생률이 높아집니다
내성균 발생을 줄이기 위해 항생제를 올바르게 사용하는 법
1. 의사의 처방에 따라 복용: 반드시 의사의 처방을 받아 항생제를 복용해야 합니다.
2. 정해진 용량과 기간 준수: 의사가 처방한 용량과 기간을 정확히 지켜야 합니다.
3. 임의로 복용 중단 금지: 증상이 나아졌다고 해서 임의로 복용을 중단하면 안 됩니다.
4. 남은 약 함부로 사용 금지: 다른 사람에게 남은 약을 주거나, 본인이 남은 약을 임의로 복용하지 않아야 합니다.
5. 항생제 복용 시 주의사항 확인: 항생제 복용 시 주의사항 (음식이나 약물 상호작용 등)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댓글